2025년 2월 7일, 8년 만에 돌아온 동계 아시안게임이 중국 하얼빈에서 성대한 막을 올립니다. 이번 대회는 아시아 34개국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8일간의 열전을 펼치며, 한국은 쇼트트랙, 빙속, 스키 종목에서 2회 연속 종합 2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마스코트 빈빈과 니니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의 마스코트인 빈빈과 니니는 2023년 9월 하얼빈시에 호랑이 보호를 위해 조성된 '동북호림원'에서 태어난 새끼 호랑이 2마리를 모티브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들은 대회의 상징으로서, 선수들과 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빈빈과 니니는 호랑이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며, 대회의 의미를 더욱 깊게 만들어줍니다.
개회식과 대회 일정
개회식은 7일 오후 9시(한국시간)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센터에서 열리며, 선수들은 이 자리에서 선전을 다짐합니다. 대회는 14일까지 진행되며, 다양한 겨울 스포츠 종목에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스키, 스노보드, 피겨스케이팅 등 다양한 종목에서 아시아 최고의 선수들이 기량을 겨루게 됩니다.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의 역사
하얼빈은 1996년 제3회 대회를 개최한 이래, 29년 만에 다시 동계 아시안게임의 개최지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2021년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개최지 선정의 어려움과 코로나19의 여파로 연기되었습니다. 이제 하얼빈은 동계 스포츠의 중심지로서, 아시아의 겨울 최대 축제를 다시 한번 만들어갑니다.
중국의 메가 스포츠 이벤트
중국은 최근 3년 동안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2023 항저우 하계 아시안게임에 이어 이번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까지, 연속으로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회 조직위원회는 화려한 조명과 기술을 활용하여 '얼음 도시' 하얼빈의 매력을 발산할 계획입니다. 개회식장에는 120만 개의 작은 눈송이 설치물이 장식될 예정으로, 관중들에게 잊지 못할 시각적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한국 선수단의 목표
한국은 이번 대회에 총 222명의 선수단을 파견하며, 아이스하키의 이총민과 컬링의 김은지가 개회식 기수로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은 쇼트트랙에서 6개,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2개, 알파인 스키와 프리스타일 스키, 컬링에서 각각 1개씩의 금메달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개최국 중국에 이어 종합 2위를 노리고 있습니다. 한국 선수단의 뛰어난 기량과 팀워크가 이번 대회에서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선수들과 관중 모두에게 잊지 못할 경험이 되기를 바랍니다. 앞으로의 경기를 기대하며, 아시아의 겨울 스포츠 축제가 더욱 빛나기를 기원합니다!